'이클립'에 해당되는 글 28건

  1. 2017.03.07 이클립스 svn add to svn:ignore 가 비활성화 됐을때 2
  2. 2016.09.29 이클립스 Neon 에서 git commit 할때 예전처럼 commit 창 띄워서 커밋하기
  3. 2015.12.07 maven jetty plugin 이클립스에서 디버깅하기
  4. 2014.09.19 Description Resource Path Location Type Can not find the tag library descriptor for "http://java.sun.com/jsp/jstl/core" 에러날때
  5. 2014.03.07 이클립스로 github 연동하기 (egit 사용)

이클립스 svn add to svn:ignore 가 비활성화 됐을때

버전관리에서 제외하고 싶은 폴더가 있어서 svn:ignore 처리 할려고 하는데 요렇게 disable 돼 있다면?


먼저 SVN Repositories View 에서 제외 시킬려는 디렉토리를 삭제한 다음(원격 레파지토리에서 삭제)



프로젝트를 업데이트 해서 삭제된 디렉토리를 반영시킨 다음에 다시 똑같은 디렉토리를 맨들면 그 디렉토리 옆에 ? 아이콘이 요렇게 뽓 뜬다.


이 상태에서 오른쪽 클릭해서 다시 가보면 아마 svn add to svn:ignore 메뉴가 활성화될 것이다~ 끝~







이클립스 Neon 에서 git commit 할때 예전처럼 commit 창 띄워서 커밋하기


간만에 이클립 사이트에 가보니 새로운 버전 네온이 나와서 얼른 받아서 사용하던 이클립스를 바꾸었다.


나는 최신버전 매니아니깐~



살살 쓰다보니 전에 쓰던 것보다 불편한게 하나 발생했다.


git commit 할때 전처럼 다이얼로그 창이 뜨는게 아니라 Git Staging View 로 포커스가 이동해서 Staged Changes 로


커밋할 파일들을 Add to Index 해야만 커밋을 할 수 있게 바껴 버린것이었다.






분명이 뭔 좋은 이유가 있어서 똑똑하신 분들이 요렇게 바꿧을 거겠지만.. 나는 전에 쓰던 버릇이 있어서 드럭게 불편함을 느꼈다.


그래서 옵션을 뒤저보니 똑똑한 분들이 나같은 인간들을 위해 전에 쓰던 것처럼 쓸 수 있게 옵션을 제공하고 있었다.



Window - Preferences - Team -Git - Committing 에서


Use Staging View to commit instead of Commit Dialog 체크 박스를 해제 하면 전처럼 쓸 수 있게 된다~





요렇게 뽀옷~~~





maven jetty plugin 이클립스에서 디버깅하기


maven 프로젝트에서 jetty plugin 을 사용해서 개발하면 가벼운 환경에서 가볍게 개발할 수 있어서 즐겨 사용하는 편이다.


개발을 하다 문득 디버깅을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 방법을 찾아보았다.



1. Run 설정하기


Main 탭 Goals 에 clean jetty:run  -Djetty.port=8888 입력

뭐 jetty:run 만 입력해도 무방하다. 8080 포트를 다른게 사용하고 있어서 -Djetty.port=8888 옵션으로 8888로 바꾸었다.





2. 디버깅 관련 자바 옵션 추가하기


JRE 탭 VM arguments 에 아래 옵션을 추가해 준다.

1
-Xdebug -Xnoagent -Djava.compiler=NONE -Xrunjdwp:transport=dt_socket,address=8000,server=y,suspend=n


address=8000 은 원하는 포트로 바꿔줘도 무방하다.

요렇게 설정한 후 Run 버튼을 클릭해 jetty 를 실행시켜 서버를 일단 실행시켜둔다.






3. Remote Java Application 추가하기


프로젝트 익스플로러나 네비게이터에서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오른쪽 버튼 클릭 > Debug As > Debug Configurations 선택

왼쪽 트리에서 Remote Java Application 선택해서 오른쪽 버튼 클릭 New 로 새로 하나 추가해 주고 요렇게 설정해 주면 된다.

Port 는 2번 항목에서 설정한 포트로 변경해 주면된다. 2번에서 address=8000 요렇게 설정했기 때문에 포트는 8000 으로~

요렇게 설정하고 Debug 버튼을 클릭해서 디버그를 시작한다.


※ 디버그를 시작하더라도 별다른 메세지는 안뜬다.






4. 브레이크 포인트 걸어서 테스트 해보기


요렇게 브레이크 포인트를 걸어 놓고 브라우저로 index.jsp 를 호출해보면




요렇게 디버그가 잘된다~ 끝~






Description Resource Path Location Type Can not find the tag library descriptor for "http://java.sun.com/jsp/jstl/core" 에러날때


이클립스에서 Can not find the tag library descriptor 라면서 에러가 표시될때 해결하기


프로젝트 프로퍼티창을 열어 Java Build Path - Order and Export 탭으로 간다.


체크가 안된 항목이 있다면 체크를 해주고 OK 버튼을 클릭한다.


잠시후 에러표시 다던것들이 사라진다.




이클립스로 github 연동하기 (egit 사용)



그동안 쭉 svn 을 써왔는데 왠지 모르게 시대에 뒤쳐진 느낌이 많이 들어 git 를 써보고 싶다는 욕망이 들끓었다.



그래서 냅다 한번 써보자 하고 이것저것 검색해서 따라해 봤는데 


이클립에서 연동하는거에 대한 설명들이 살짝 아쉬웠다. 어째저째 되긴 되는것 같은데 50% 아쉬웠다.



연동하는 방법 -.-?


화면 캡쳐 뜰게 너무 많을것 같아 귀찮은 마음가짐에 의해 동영상으로 맹글어 봤다. 동영상 맹그는게 왠지 더 귀찮은듯 -.-


eclipse kepler 부터는 egit 훌러그인이 디폴트로 깔려 있는거 같은데, 


이전 버전 이클립 쓰는 사람들은 Help - Eclipse Marketplace 에서 egit 으로 검색해서 고거 설치하면 된다.





대충 요렇게 쓰면 svn 과 비슷하게 써 지는것 같다. svn 과 비슷하게 쓸려고 git 을 사용하는게 아닌데 -.-


뭐 일단 여기까지만 하고 git 의 장점과 고것을 활용하는것은 차근차근 써보면서 알아가면 될것같다. 


오늘 할일은 내일로 미루는 행복~


prev 1 2 3 4 ··· 6 next


Article Category

분류 전체보기 (223)
이클립 (28)
maven (9)
Spring (7)
Java (26)
mybatis (8)
jQuery Plugi.. (8)
Javascript (14)
Javascript 예.. (12)
CSS (2)
잡다구리 샘플 (4)
쓸만한지식 (81)
Ubuntu serve.. (22)
쇼핑물건 평가 (1)

Recent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