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클립스 실행시 Java was started but returned exit code=1 에러가 날때.

나의 알토란 같은 컨퓨터가 쪼금 버벅거리는것 같아서 새로 싹 호맷을 하기로 결정했다.

깨끗하게 호맷한 뒤 상쾌한 기분으로 윈도우7 64 비트 버전을 뽓 다 설치하고 개발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 자바, 이클립 요딴걸 받아서 설치했다.



호맷을 한 뒤 문득 최신버전의 개발환경을 소유하고 싶어염! 하는 욕정이 불끈 솟아났다.

그래서 java7 64bit 버전을 폿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한뒤 이클립도 요즘 최신버전인 indio 64bit 버전을 폿 받아서 압축을 뿍 풀어주고

앙증맞은 이클립 아이콘을 떠블클릭해 실행하려고 했다.

그런데 첨보는 에러인 Java was started but returned exit code=1  에러가 났어염 하면서 이클립이 실행이 안됬다. exit code=13 은 얼마전에 다른 컨퓨터에서 났던 오류라 금방 고칠수 있었는데 exit code 가 1 이라니 -_-;



뭐 이세상에 안되는게 어딧나 고치면 되는것이다. 이것저것 이너넷 검색을 해보니 -Xms -Xms 요런 옵션에 들어가는 메모리 사이즈를 고쳐보세염 하는 조언들이 대부분이였는데



나 같은 경우는  죠걸 고쳐도 잘 안되는걸 봐서는 뭔가 다른 문제인것 같았다.

이것저것 해보다가 결국 해결했는데 내가 해결한 방법은 이클립 시작할때 사용하는 jvm 을 살짝 다른 jvm 으로 바꿔서 하니까 실행이 문득 잘 되었다 -_-

보통 이클립 시작할때 쓰는 jvm 을  %자바설치경로%\bin\javaw.exe 로 많이들 지정하는데 나의 경우는 고걸로 지정해도 안됬다.

jvm 을 %자바설치경로%\jre\bin\server\jvm.dll 로 설정하니까 해결되었다. 무엇인 문제인지는 아직도 정확하게 파악은 안되지만 아무튼 해결했으니~ 장땡이다~



어떤 jvm 을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설정은 이클립스 설치 디렉토리/eclipse.ini 파일을 살짝 수정해 주면 된다.

죠기 -vm 옵션에 자신이 설치한 java 경로로만 바꿔주면 된다. 


eclipse.ini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startup
plugins/org.eclipse.equinox.launcher_1.2.0.v20110502.jar
--launcher.library
plugins/org.eclipse.equinox.launcher.win32.win32.x86_64_1.1.100.v20110502
-product
org.eclipse.epp.package.jee.product
--launcher.defaultAction
openFile
--launcher.XXMaxPermSize
256M
-showsplash
org.eclipse.platform
--launcher.XXMaxPermSize
256m
--launcher.defaultAction
openFile
-vm
C:\Program Files\Java\jdk1.7.0_01\jre\bin\server\jvm.dll
-vmargs
-Dosgi.requiredJavaVersion=1.5
-Xms40m
-Xmx512m


※ 나의 개발환경은 대충 요렇다.
OS : Windows7 64bit
JDK : JDK 1.7 64bit
Eclipse : Indigo 64bit





Article Category

분류 전체보기 (223)
이클립 (28)
maven (9)
Spring (7)
Java (26)
mybatis (8)
jQuery Plugi.. (8)
Javascript (14)
Javascript 예.. (12)
CSS (2)
잡다구리 샘플 (4)
쓸만한지식 (81)
Ubuntu serve.. (22)
쇼핑물건 평가 (1)

Recent Article